한국투명성기구

국제투명성기구 한국본부

자료실

Transparency International-Korea

게시물 상세
[TI-Korea Forum 뉴스레터] [8호]한국인이 아닌 그대의 관점: 청렴성과 공무원
작성자 : TI-Korea(ti@ti.or.kr)  작성일 : 2023-06-30   조회수 : 1317

  2023.7.3. 제8호

 

 

 

 

한국인이 아닌 그대의 관점: 청렴성과 공무원



 

 

 

Gwendolyn Domning 베를린 자유대학 박사과정/한국투명성기구 전 인턴



 

나는 한국의 공무원을 만날 때마다 청렴에 대해 질문한다. 청렴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그러면 그들은 항상 내게 청백리에 대해 알고 있는지 되묻는다. 한국인이 아닌 나는 그들의 설명을 열심히 들었다.

 

()은 물과 같은 깨끗함, ()은 물들지 않은 흰색, 그리고 리()는 공무원을 의미한다. 이 칭호는 전통적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공무원의 자부심을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왕들은 가장 위대한 관료, 즉 부패하지 않은 공무원에게 청백리라는 희귀한 칭호를 수여하였다. 부패의 유혹에 빠지지 않고 견디는 결의를 증명한 사람들만이 그들의 인내심에 대한 보상으로 명예를 받을 수 있었다.

 

이 이야기를 듣고 나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청백리의 몇몇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공통점을 발견했는데, 청백리들은 모두 가난했다는 것이다. 그들의 유일한 재산은 가난을 견디고 난 후에 수여된 명예였다. 과연 부패하지 않은 사람들이 가난 속에서 살아가면서 어떻게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가에 하는 질문도 내 머릿속에 생겼다.

 

한국에 청백리가 있다면, 다른 나라에도 국가 청렴을 상징하는 표현들이 존재한다. 내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프로이센 선행’ (Preußische Tugend)이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옛날에 프랑스에서 공무원이 아니라 권력과 돈이 갖고 있었던 귀족들의 나라와 국민에 대한 책임을 표현한다. 한편 프로이센 선행19세기 프로이센 관료의 자아 인식과 청렴성에 대한 신념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는 두 표현 모두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내가 프랑스와 독일의 공무원들에게 청렴의 정의에 대해 물었을 때, 누구도 노블레스 오블리주프로이센 선행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다.

 

청렴에 관한 질문에 대한 한국 공무원의 대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내 개인적인 결론은 한국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아직도 공무원의 자부심이 역사적으로 청렴성, 그리고 깨끗한 물과 순수한 흰색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높은 청렴의 기준을 응원하지만, 흰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전글 한국투명성기구 2020 전략계획(TI-Korea strategic plan 2020)
다음글 [8호]한국가스안전공사 소개 및 반부패・청렴 활동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
293 [TI-Korea Forum 뉴스레터] [15호]예루살렘 성전의 부패 구조와 예수운동 2025-03-31 157
292 [TI-Korea Forum 뉴스레터] [15호]국방분야 청렴성 증진을 위한 과제와 방향 2025-03-31 184
291 [TI-Korea Forum 뉴스레터] [15호]지속 가능한 반부패 통합 거버넌스 2025-03-31 229
290 [사진/동영상] 2024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 발표 기자회견 2025-02-11 313
289 [TI-Korea Forum 뉴스레터] [14호]문민 국방 장관이 필요하다. 2024-12-31 452
288 [TI-Korea Forum 뉴스레터] [14호]한국어촌어항공단 소개 및 반부패·청렴 활동 2024-12-31 360
287 [TI-Korea Forum 뉴스레터] [14호]지방권력 비리와 개선방안 2024-12-31 388
286 [TI-Korea Forum 뉴스레터] [14호]OECD 가이드라인 중 반부패 분야 동향 및 시사점 2024-12-31 430
285 [TI-Korea Forum 뉴스레터] [14호]잘못 바로잡아야 청렴사회 가능 2024-12-31 440
284 [TI-Korea Forum 뉴스레터] [13호]기업의 공정거래 자율준수 제도 2024-09-30 626
283 [TI-Korea Forum 뉴스레터] [13호]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소개 2024-09-30 549
282 [TI-Korea Forum 뉴스레터] [13호]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유권해석 사례와 판례 2024-09-30 712
281 [TI-Korea Forum 뉴스레터] [13호]금융권 내부통제 실패에 관한 소고 2024-09-30 533
280 [TI-Korea Forum 뉴스레터] [13호]국민권익위원회의 위상, 그리고 독립성, 정치적 중립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가? 2024-09-30 494
279 [TI-Korea Forum 뉴스레터] [12호]청렴옴부즈만 활동과 과제 2024-06-28 781
278 [TI-Korea Forum 뉴스레터] [12호]한국해양진흥공사 소개 2024-06-28 803
277 [TI-Korea Forum 뉴스레터] [12호]공정거래 자율준수 제도 법시행의 의미 2024-06-28 753
276 [TI-Korea Forum 뉴스레터] [12호]‘트로이 목마전술; 국방예산 투명성 제고’보고서 분석 2024-06-28 667
275 [TI-Korea Forum 뉴스레터] [12호]부패와 청렴도 : 모든 시선이 대통령에게로 집중 2024-06-28 843
274 [사진/동영상] TI-Korea Forum 2024년 제1차 워크숍 2024-06-03 513